안전난간
|

건설안전기사 – 안전난간 구조 및 설치기준

안전난간 /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고소작업 중 추락하는 사고는 전체 재해의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러한 추락을 예방하기 위해 비계, 작업발판, 개구부 등 고소부위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해야 하며,
이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08조에서 그 구조와 높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필답형 문제

안전난간
안전난간

화면은 건설현장에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이 설치된 현장을 보여준다.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을 쓰시오.

정답 및 근거

  1. 상부난간대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1.2m 이상일 것

  2. 중간난간대는 상부난간대와 발끝막이판 사이에 설치할 것

  3. 발끝막이판은 높이 10cm 이상으로 설치할 것

  4. 난간대는 내부 하중 100kg 이상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것

  5. 난간대와 기둥 사이는 15cm 이하의 틈이 없도록 설치할 것

근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08조 (안전난간의 구조 등)

사업주는 근로자가 추락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하며,
안전난간은 상부난간대, 중간난간대, 발끝막이판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부난간대의 높이는 바닥면에서 1.2m 이상, 발끝막이판의 높이는 10cm 이상이어야 하며
구조적으로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안전난간 주요 항목별 설명

① 상부난간대 (높이 1.2m 이상)

상부난간대는 작업자의 중심 높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1.2m는 일반 성인의 복부~가슴 부위 높이로, 중심이탈 시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다.
이 기준은 작업자가 미끄러질 때 상체가 난간을 넘어가지 않도록 설계된 수치이다.

② 중간난간대

상부난간대와 발끝막이판 사이에는 반드시 중간난간대를 설치해야 한다.
이는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물건을 떨어뜨릴 때 하체가 빠져나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통 중간난간대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약 0.5~0.6m로 설치된다.

③ 발끝막이판 (10cm 이상)

발끝막이판은 공구나 자재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10cm는 일반적인 공구(렌치, 망치 등)가 난간 하단부를 넘어가지 않도록 설계된 최소 높이이다.
이 판은 합판, 강판 등으로 만들어 구조적으로 견고해야 하며, 틈이 없어야 한다.

④ 구조적 강도 (100kg 이상 견딜 것)

안전난간은 외부에서 사람이 기대거나 충격을 가했을 때도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부난간대는 수평방향 하중 100kg 이상을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는 한 명의 작업자가 순간적으로 체중을 실었을 때도 붕괴되지 않도록 한 기준이다.

⑤ 틈새 및 연결부

난간의 각 부재는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하며,
난간대와 기둥의 간격은 15cm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작은 자재나 공구가 틈새로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적 요구사항이다.

안전난간 설치 예시 요약

구성요소 설치기준 주요 목적
상부난간대 1.2m 이상 추락 방지, 신체 지지
중간난간대 상부와 발끝 사이 설치 하체 추락 방지
발끝막이판 높이 10cm 이상 공구·자재 낙하 방지
구조강도 100kg 이상 외력에 대한 안정성
간격 15cm 이하 낙하물 방지 및 안전성 확보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