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안전기사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화물 적재 시 준수사항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란 건설현장에서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지게차, 로더, 크레인, 굴삭기, 컨테이너 리프트 등 차량 바퀴 또는 궤도를 이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이 장비들은 주로 중량물 운반에 사용되므로, 화물의 무게중심·고정상태·시야 확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핵심 관리요소가 된다.

필답형 문제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화면은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로 화물을 운반하는 현장을 보여준다.
이때,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화물을 적재할 때 준수해야 하는 사항 3가지를 쓰시오.

정답 및 근거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1.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화물을 적재할 것

  2. 화물이 붕괴되거나 낙하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할 것

  3.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화물을 적재할 것

  4. 최대적재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근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73조 (화물적재 시의 조치)

사업주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화물을 적재할 때
화물이 붕괴되거나 낙하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하며,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하고,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최대적재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항목별 설명

① 하중의 균형 유지

화물을 한쪽으로 몰아 적재하면 무게중심이 편향되어
차량이 전도되거나 바퀴 축이 손상될 수 있다.
특히 대형 장비(로더, 리프트 등)는 적재 불균형 시
차체가 기울거나 앞·뒤 바퀴가 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항상 균형 중심선에 맞추어 화물을 적재해야 하며,
좌·우 하중 편차는 최소화해야 한다.

② 낙하 및 붕괴 방지 조치

화물이 적재 중 이동하거나 진동에 의해 낙하하는 경우,
주변 근로자에게 직접적인 충돌 또는 협착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로프, 체인, 고정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화물을 단단히 묶거나, 운반 전 고정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특히 경사면 이동 시에는 하중이 전방으로 쏠리므로
하역 전·후 바퀴 브레이크를 체결하고, 지면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③ 운전자의 시야 확보

화물이 운전석의 전방 시야를 가릴 경우,
작업자나 장애물과의 충돌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화물은 가능한 한 낮게 적재하고,
전방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유도자(신호수)를 배치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④ 최대적재하중 준수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는 기종별로 최대적재하중(정격하중) 이 명시되어 있다.
이를 초과하면 장비의 하부 프레임, 붐, 힌지 연결부 등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여
전도·파손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적재물의 총중량은 장비 명판에 기재된 정격하중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요약 정리

구분 주요 내용 안전 목적
하중 균형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적재 전도 방지
낙하 방지 로프·체인 등으로 고정 낙하물 및 협착 방지
시야 확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적재 충돌사고 예방
하중 관리 최대적재하중 초과 금지 장비 파손·전도 방지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